알바생도 세금 내야 할까? : 아르바이트 세금 신고 완벽 가이드

알바생도 세금 낼까? A to Z 정리 📋 목차 1. 아르바이트 소득의 종류 2. 일용근로소득과 비과세 기준 3. 간이사업·프리랜서로 계약한 경우 4. 종합소득세 신고 기준과 절차 5. 신고 안 했을 때 불이익 6. 환급받는 방법 및 활용 팁 7. FAQ 1. 아르바이트 소득의 종류 아르바이트 소득은 크게 세 가지로 분류됩니다: 일용근로소득 (단기·일급제), 일반근로소득 (장기 고용), 사업소득(프리랜서 형태) . 어떤 형태로 지급받느냐에 따라 세금 부과 방식과 신고 방식이 달라집니다. 2. 일용근로소득과 비과세 기준 하루급여가 10만원 이하 이고 고용주도 매일 바뀌는 일당제 알바는 일용근로소득 으로 분류됩니다. 국세청 기준에 따라 1일 187,000원 이하(결정세액 999원 이하)는 세금이 원천징수되지 않으며 비과세 처리됩니다. 국세청 일용근로소득 기준 3. 일반근로소득 또는 사업소득 대형 프랜차이즈에서 월 기준 또는 정기급여로 일하면 4대 보험과 원천징수 세금 이 붙는 일반근로소득입니다. 월 급여가 106만 원 이상이면 간이세액표 기준으로 소득세가 공제됩니다. 반면 배달 알바처럼 계약서 없이 3.3% 세금만 떼는 경우는 사업소득(원천징수 대상 사업소득) 으로 분류되어 다음 해 5월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이 됩니다. 비즈워치 정지원 기자 보도 아웃소싱타임스 안내 4. 종합소득세 신고 기준과 절차 ▪️ 일반근로자는 연말정산으로 대부분 정산 완료됩니다. ▪️ 사업소득 유형(3.3% 원천징수)은 다음 해 5월 1~31일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입니다. ▪️ 연봉형으로 일하면서 알바 병행할 경우 근로소득 + 사업소득 합산 신고해야 합니다. 토스뱅크 근로·알바 혼합 사례 신고서 작성은 홈택스·손택스를 통해 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